실손의료보험 세대 구분
실손의료보험 세대 구분
- 1세대 실손의료보험: 2009년 10월 이전에 판매한 표준화 이전 실손(구실손)
- 2세대 실손의료보험: 2009년 10월 ~ 2017년 3월까지 판매(표준화 실손)
- 3세대 실손의료보험: 2017년 4월 이후 판매(착한 실손)
- 4세대 실손의료보험: 2021년 7월부터 판매
지금부터 가입하는 실비보험은 전부 4세대입니다.
4세대 실손보험 장점
2021년 7월부터 등장한 4세대 실손보험의 가장 큰 장점은 저렴한 보험료입니다. 1세대 또는 2세대 평균 보험료가 월 2만 원에서 3만 원대이지만 세대의 경우 월 1만 원 초반 수준으로 저렴합니다.
4세대 실손보험 단점
4세대 실손보험은 기존 상품에 비해 보험료가 저렴하지만, 진료 시 보장받는 금액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1세대 실손보험은 실제 의료비를 전액 돌려받아 자기 부담률이 0%였고, 2~3세대 상품들은 자기 부담률이 10~20% 수준이었습니다. 그러나 4세대 실손보험은 자기 부담률이 급여 항목에서 20%, 비급여 항목에서는 30%로 상대적으로 높아졌습니다. 이로 인해 진료비가 100만원인 경우, 다른 상품보다 10만원에서 30만원 정도 더 많은 금액을 부담해야 합니다. 따라서 현재 실손보험이 없거나 향후 의료비 지출이 적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4세대 가입으로 의료비(보험료)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존 실손보험이 있고, 미래 의료비 지출이 큰 경우, 4세대로 전환하면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또한, 4세대 실손보험의 가입 주기가 가장 짧습니다. 1세대 실손보험은 만기까지 보장되며 재가입이 필요하지 않았고, 2~3세대는 재가입 주기가 15년이었습니다. 그러나 4세대는 주기가 5년으로 대폭 줄었습니다. 따라서 5년마다 보험을 갱신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여 자신과 가족의 의료비 특성에 맞게 실손보험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보험 상담을 통해 전문가와 함께 최적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